반응형

SW 개발 342

[Linux 강좌] 1) 임베디드 프로그래머와 부트로더 - 마소

임베디드 프로그래머와 부트로더-1 임베디드 시스템에 사용되던 프로세서들 32비트 프로세서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 8비트 원칩 프로세서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 32비트 원칩 프로세서의 등장 임베디드 프로그래머와 부트로더-2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자의 고민 리눅스와 임베디드 시스템 소스가 공개되어 있다 많은 디바이스 드라이버 소스가 포함되어 있다 응용 프로그램이 하드웨어 구조에 영향을 적게 받는다 실제 하드웨어가 없어도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참조할 만한 응용 프로그램들의 소스는 대부분 리눅스 애플리케이션 소스다 임베디드 프로그래머와 부트로더-3 리눅스 커널의 구동 환경 리눅스와 부트로더 부트로더의 실체 하드웨어 디버깅과 시스템 초기화 기능 임베디드 프로그래머와 부트로더 -4 상태 표시·메시지 표출·명령..

SW 개발 2011.06.28

[Linux 강좌] 리눅스 커널 락을 없애려는 시도들

제공 : 한빛 네트워크 저자 : 한동훈 Linux Scalability Effort Linux: Debating The Merits Of Kernel Preemption Linux 2.6 Performance in the Corporate Data Center Linux Scalability Effort http://sourceforge.net/project/showfiles.php?group_id=8875 락은 동기화를 위해 필요하지만 수행 성능에 큰 저하를 가져온다. 적절히 무시할 수 있는 센스 http://minjang.egloos.com/1094167 위의 블로그에도 써 있는 것처럼 무시할 수 있다면 무시하는 것이 더 좋다. 위 소스포지 사이트는 리눅스 커널의 수행성능을 끌어올리기 위해 커널에서 ..

SW 개발 2011.06.28

xe / xewiki / 위키 문법 바꾸기

마크다운변환 : 20190905 저는 제가 개발했던 자료들을 개인적인 xe 홈페이지를 이용해서 비밀내용까지 모두 올려놓습니다. (개인적인 개발 노트로 활용하고있습니다.) 그중 xe wiki 는 아주 간단한 위키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강력하지는 않지만 아주 유용하게 잘쓰고있습니다.) 문제발생 헌데 사용하다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소스코드를 잘 올리다보니... 소스코드의 내용중 배열의 내용이 제대로 보이지 않더군요. 이유는 기본적으로 xe wiki 는 [글내용] 이런식으로 문서를 만들게 됩니다. 때문에 배열이 새로운 글내용 링크로 표시되어 제대로 소스코드를 보기 힘들게 됐습니다. 위키문법 바꾸기 그래서 [[글내용]] 형식으로 바꾸는 팁을 알려드릴께요. /xe/modules/wiki/wiki.view.php..

SW 개발 2011.06.27

winCE,Mobile / 네트워크 / NDIS 인터페이스로 네트워크카드 파워 컨트롤

NDIS 를 통한 Power Control NDIS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SetDevicePower()관련 API를 쓰지않고도 NDIS interface Device 를 Power컨트롤 할수있다! 네트워크 드라이버 같은경우 거의 모든기능을 NDIS 인터페이스로 제어할수있는데 기중 기초가 되는 Power control 소스이다. NDIS는 IO Control 로 모든 제어를 할수있게 되어있다. 각 파워 스테이트는 소스 검색을 해보면 알수있게 되어있는데 D0~D3 까지 설정을 할수있다. 구조체를 검색해보면 알수있다. NDIS_DEVICE_POWER_STATE 구조체를 검색해보면 알수있다. 관련 MDSN :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gg602135(v=vs.85)...

SW 개발 2011.05.18

[Linux_kernel] generic usb serial 드라이버 추가, 사용하기

Step1. 커널에 해당 usb serial 모듈 추가. Setp2. usb serial 모듈을 enable 시키기 Step1. 커널에 해당 usb serial 모듈 추가. 커널의 menuconfig 의 device driver -> usb 를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메뉴가 쫙나온다. | | |----------------------------------------------------------------------------------------------------------| x l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qk x x x Driver Mode (Both host and..

SW 개발 2011.05.17

Make Rule / make install 크로스 컴파일하기 / install 유틸의 strip 크로스 컴파일설정

install 유틸의 strip 크로스 컴파일설정 거의 모든 시스템 프로그래밍에서 make install 하게 되면 host 컴퓨터의 install 유틸을 갖고 파일시스템? 을 구축하게 된다. ( 물론 복사될 타겟 디렉토리는 만들기 나름이겠지요;;) 그냥 아무런 옵션없이 install 옵션중에는 자동으로 strip 하게 되어있는 경우가 있는데. 크로스 컴파일 환경에서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크로스 컴파일로된 오브젝트를 host 의 strip 유틸로 strip 하려고 한다는점이다. 대표적으로 PPPD를 크로스 컴파일 할경우 make install 할경우 아래와 같은 strip 에러가 난다. install -s -c -m 4550 rp-pppoe.so /home/test_root/works/ppp-2.4.5..

SW 개발 2011.05.17

기타유틸 / windows용 포트 포워딩 유틸

일단 nat로 vmware 를 구성했으면 host 컴퓨터의 ip를 공유해서 쓰게 됩니다. 그러므로 외부에서 vmware 로 바로 접근하지는 못합니다. 이때는 port 를 forwarding 을 하면 됩니다. 예를들면... vmware가 내부적으로 192.168.10.100 을 쓰고.. host pc는 175.100.10. 200 을 쓴다고 가정합시다. 그럼 175.100.10. 200 의 특정포트를 192.168.10.100 의 22번 포트로 연결을 시켜주면 간단히 해결됩니다. ==> 이때 host 컴터의 방화벽에서 위의 특정포트를 예외 정책으로 뚫어줘야 합니다. 첨부파일은 해당 포트포워딩을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SW 개발 2011.05.17

vmware / 설정 / nat 환경에서 외부에서 samba 설정

사실 vmware 의 네트워크 설정중에 nat로 설정하게 되면 여러가지로 불편한게 많습니다.. 외부에서 바로 접근을 못한다는 것입니다. vmware의 samba를 쓰지 못하느냐? 방법은 있긴한데 쓰고있는 컴터에 loopback 드라이버를 설치한후 ssh 터널링으로 해서 port를 4개를 포워딩 해주고 하면 되긴 되는데 너무 복잡하고 win7 에서는 잘 되지도 않더군요;; 삼바를 연결하지 않고 간단한 방법을 이용하면 됩니다. ssh 를 이용하는건데요. ssh 를 뚫어놓으면..(ssh뚫는 방법은 아래의 게시물 참고해주세요) sftp를 덤으로 사용할수있게 됩니다. sftp는 덤으로 이용가능합니다. 참고로 sftp는 22번 ssh 포트를 이용하여 ftp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file zilla 같은데서 확인해..

SW 개발 2011.05.17
반응형